따라서 관절염이 발생한 부위는 염증매개물질들이 가득 하게 된다. 이렇게 국소부위에 몰려있던 염증매개물질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혈액을 타고 온몸으로 퍼져 전신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반대로 신체 내 다른 부위에 있던 염증매개물질이 관절 내의 염증반응을 촉발하기도 한다.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지질 이상,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에 따른 경미한 염증일지라도 여기서 발생한 염증매개물질들이 혈액을 통해 관절 내에 들어가 관절염을 촉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활성화된 관절 내 염증이 지속적으로 염증매개물질을 만들고, 이 물질들이 반대로 다시 혈액을 타고 전신에 퍼져 알츠하이머 치매나 협심증과 같은 만성 질환을 키울 수 있다.
이병훈 교수는 “실제 손 관절염의 경우 전신에 염증물질이 많은 비만환자들에서 두 배 정도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며 “최근에는 단순 비만이 문제가 아니라 체내 지방의 질이 중요하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단순 비만보다 대사증후군과 같은 질이 안좋은 지방이 관절염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성별 같은 선천적 면역상태, 생활습관만큼 중요
관절염으로 인한 염증 유발 기전은 선천적 면역상태에도 영향을 받는다.
관절 내 국소적으로 발생한 염증은 개인의 성별, 인종에 따라 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관절염의 진행정도는 개인별로 천차만별이다. 다만, 여성의 경우 관절염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관절염 환자의 상당수는 여성이 차지한다. 여성은 평소 집안일 때문에 앉고 일어나기를 반복하는 생활습관 외에도 폐경 이후 관절염을 예방하던 에스트로겐의 역할이 줄어들어 관절염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폐경 이후 관절통이 시작되거나 지속되는 경우 관절염의 진행을 늦추기 위한 상담과 치료가 필요하다.
이병훈 교수는 “관절염의 염증발생 정도는 생활습관과 개인 요인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위험요소를 갖고 있다면 관절염을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관절염을 관리하는 것이 전신질환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병훈 교수는 무릎 건강을 위한 기초연구부터 임상연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매년 7편 이상, 현재까지 총 50편에 가까운 논문을 학회지에 게재하고 있다. 특히 우수한 줄기세포융합기술을 검증, 확보해 연골재생 및 임상적 효과를 검증한 10편이상의 논문을 학회지에 게재했다. 최근에는 정확한 교정과 합병증을 없애기 위한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수술기법을 고안하기도 했다.
<도움말 : 가천대 길병원 정형외과 이병훈 교수>
출처 : 메디팜스투데이(
http://www.pharms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