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고령화의 영향으로 치매 환자 수가 2050년에는 271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4년 국회예산정책처가 내놓은 추정치다.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국내총생산(GDP)의 1.5%에 이르는 4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치매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 대비해 정부가 치매 환자를 전담해 돌보는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을 올해 하반기에 도입할 계획을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강원도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열린 '치매케어,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길을 찾다' 주제 세미나에서 "장기요양시설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획일화된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존엄성에 기반을 둔 케어(돌봄)를 할 수 있도록 치매 어르신에게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의견 수렴을 거쳐 올해 하반기 도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도입을 위해 그동안 수가와 시설 규정 등에 대한 세부 기준을 마련하고 시범사업을 벌여왔다.
이날 세미나에서 참가자들은 전문적인 치매케어 제공을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유정애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장기요양기관이 치매환자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계획을 수립하도록 해야 하며, 치매 환자를 돌보기 위해 사례 분석 중심의 가이드라인과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할 필요가 있다"며 "치매 케어를 전문적으로 제공할 인력도 적극적으로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기욱 군산대(사회복지학) 교수는 "장기요양서비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평균 연령이 56세에 이를 정도로 젊은 연령대의 진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중고등 교육기관에서 요양보호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해 젊은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출처 : 연합뉴스